소프트웨어 이야기

리눅스에는 Wine Emulator가 있다!

Induky 2008. 10. 1. 10:30

리눅스에서는 윈도우용 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는 다는 것은 이미 말을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오픈소스 진영의 용자들은 리눅스에서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이 돌아가도록 하는 에뮬레이터를 제작 하였다.


이름 하여 Wine..

공식 홈페이지는 http://www.winehq.org


여기가 바로 Wine 공식 홈페이지다.


설치법은 결코 어렵지 않다.

http://www.winehq.org/site/download 여기에서 가능하다. 플랫폼 별로 골라 들어가면 되고,

들어가면 설치법이 나온다. 우분투를 기준으로 하자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번째 방법. 일단 http://www.winehq.org/site/download-deb 에 들어간다.

그러면 설치 방법이 나오는데, 먼저 소프트 리포지터리를 등록한다.


터미널을 열고 wget -q http://wine.budgetdedicated.com/apt/387EE263.gpg -O- | sudo apt-key add - 을 입력한다.

그러면 소프트웨어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나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udo wget http://wine.budgetdedicated.com/apt/sources.list.d/hardy.list -O /etc/apt/sources.list.d/winehq.list
그리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두 번째 방법. 직접 .deb파일로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이것도 우분투를 기준으로 하겠다.

http://wine.budgetdedicated.com/archive/index.html

여기에 들어가서 플랫폼대로 다운 받으면 된다.

나 같은 경우는 8.10 알파 6버전이긴 하지만 그건 무시하고 Hardy용으로 다운 받았다. 그래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링크에 들어가면 위의 사진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나같은 경우는 64bit OS이기 때문에 AMD64로 다운 받았지만, 보통 많이 쓰는 32bit플랫폼에서는 i386으로 다운 받으면 된다.

다운 받은 뒤에 바로 실행 하면 Wine이 설치 된다.


설치가 끝나면 프로그램에 Wine이 등록 되는데, 이제 프로그램을 실행 해본다.

참고로 Wine을 이용해 윈도우용 게임도 일부 실행 가능하다(본인은 직접 Steam기반 게임을 돌려봤는데 프레임이 좌절스럽지만 일단 돌아갔다 - Phenom 9850, 8G, 지포스 9800GT을 기준으로)

Wine으로 구동한 Steam 화면. 윈도우와 똑같다. 단지 한글이 깨진다.


꼭 스팀만이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도 돌아간다.

Wine으로 구동한 eMule화면. 윈도우와 거의 흡사하게 구동 된다.


그렇다고 은행이나 국산 게임이 돌아가지는 않는다. 이유는 그 악명높은 ActiveX.. 특히 보안 프로그램 때문이다.

실행이 될 것 같아 보이면서도 보안 프로그램에 다 걸려서 실행이 불가능하다.


그래도 상당수의 윈도우 프로그램이 돌아간다는 것만으로도 Wine의 가치는 충분하다.

참고로 리눅스용 Picasa는 윈도우용을 Wine기반으로 돌리는 것이다. 애초에 리눅스용 컴파일이 아니였던 것이다.


리눅스는 다 필요없고 그냥 만지는 것만으로도 재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