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다시피 버추어박스 2.22로 넘어오면서 우분투 및 리눅스 계열에 컴피즈 사용이 가능 해졌습니다.(http://blog.daum.net/induky/7730803 참고)
그러나 윈도우와는 달리 리눅스의 설치는 매우 생소할 것입니다.
게다가 컴피즈의 세팅도 매우 생소할 것입니다. 그러한 뜻에서 간단하게 우분투의 설치 및 컴피즈의 설정까지만 알아보도록 합시다.
준비물
2. 우분투(ftp://ftp.daum.net/ubuntu-releases/9.04/) - 9.04버전입니다.
먼저 버추어 박스를 설치합니다. 그거야 뭐 너무 쉬워서 패스.
이제 본격적으로 우분투를 설치 해봅시다. 위의 그림에 표시된 곳을 누르세요.
이제 시작합니다. 다음을 누르시면 됩니다.
이름을 먼저 적습니다(당연한 것이겠지만)
운영체제는 당연히 리눅스->우분투겠죠. 다른 리눅스라면 버전만 다른걸로 선택 하시면 됩니다.
메모리는 512MB이상이면 됩니다. 나중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메모리 점유율이 극히 낮습니다.
다음을 누르면 하드디스크를 선택할 메뉴가 나오는데, 아마 처음 설치했다면 하드디스크가 없을 것입니다.
여기에서 다음을 선택합니다.
그럼 디스크를 새로 만들 것입니다. 다음을 누릅니다.
동적과 고정이 있는데, 동적은 용량의 최대 한도를 설정 하고, 쓰는 만큼만 용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정은 당연히 처음부터 일정 용량의 가상 파티션을 만들어 놓는 것을 말합니다.
저는 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동적으로 선택 하겠습니다.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2.8GB를 차지합니다. 그러므로 최소 용량은 2.8GB가 되어야 하겠지만, 그래도 추가로 설치할 것을 대비해 넉넉하게 4G이상을 잡아둡시다. 저는 8G로 선택 하였습니다. 어차피 동적이니까 용량 가득 채워도 상관 없습니다 ㅡ,.ㅡa
이제 하드디스크 생성이 끝났습니다. 완료를 누릅니다.
그 다음 과정도 완료를 누르면 끝납니다.
그럼 이렇게 우분투 항목이 생깁니다. 당연히 처음부터 부팅을 하면 안되니 일단 설정을 합시다.
우분투를 선택 한 다음에 설정을 누릅니다.
설정창 가장 먼저 나오는 화면입니다. 여기에서 해야 할 것은 3차원 가속 사용하기 항목에 체크를 합니다. 비디오 메모리 크기는 적게 잡아도 상관 없습니다. 저는 그냥 놔두겠습니다.
고급 메뉴는 32bit 우분투를 기준으로는 설정할 필요가 없기에 생략 하겠습니다.(64bit에서는 VT, AMD-V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가상화 기술이 없으면 64bit는 아예 동작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64bit 가상화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64bit OS가 메인이 되어야 합니다. 비스타 64bit라던가 XP 64bit라던가...)
이제 ODD를 선택 해야 할 시간이 왔습니다.
이와 같이 체크를 한 다음, ISO 이미지 파일을 선택 하시고 오른쪽의 찾아보기 아이콘을 누릅니다.
그럼 이렇게 가상 미디어 관리자가 나옵니다. 추가를 누릅니다.
이와 같이 우분투 이미지가 저장 된 곳으로 가서 추가를 합니다.
당연히 추가 된 우분투를 선택 합니다.
그럼 이렇게 우분투 이미지가 선택 되었습니다.
그 외의 플로피, 오디오, USB 등등은 초심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항목이기 때문에 넘어갑니다(......)
이제 설정이 얼추 끝났습니다. 시작을 누릅니다.
가상화 모드로 시작하게 되면 가상화 PC로 키보드가 넘어갑니다.
가상화를 시작하기 전에 설명을 하겠지만 메인 OS로 넘어오기 위해서는 Host키가 필요 합니다.
기본값은 오른쪽 Ctrl키입니다. 반드시 숙지 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렇게 친절하게 다국어로 메뉴를 고를 수 있습니다. 당연히 한국어를 고릅니다.
그리고 나서 우분투 써보기 또는 우분투 설치하기를 고르면 됩니다. 저는 우분투를 설치하지 않고 써보기를 선택 했습니다.
그럼 이렇게 우분투의 메인 화면이 나옵니다. 아직은 설치가 되지 않은 라이브 CD상태이므로 영문판에 아무것도 설정이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일단 '설치'를 고릅니다.
그럼 언어를 고르는 메뉴가 나옵니다. 당연히 한국어를 고릅니다.
기본적으로 설정이 된 키보드는 영문인데, 이렇게 하면 영문으로 밖에 글을 쓸 수가 없습니다. 사실 한글 키보드를 설정 할 수는 있긴 한데 귀찮습니다. 그러므로 처음부터 한국어 키보드로 설정 해야겠죠.
이렇게 원하는 것 선택을 누르고, Korea로 갑니다. 저는 101key를 쓰기 때문에 101key로 설정 하였습니다.
넘어가면 이렇게 파티션을 설정하는 메뉴가 나옵니다. 과감하게 앞으로를 누릅니다. 어차피 디스크가 이것 밖에 없으니;
고급 유저들은 수동으로 파티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그건 차차 알 수 있을겁니다.
이렇게 필요한 항목을 입력합니다. 참고로 로그인을 할때는 induky라는 이름을 씁니다(제 기준)
저는 암호를 6자로 설정해서 이러한 팝업이 뜹니다. 8자 미만의 암호를 설정하면 이렇게 뜨는데, 저는 과감히 무시하고 계속을 선택합니다.
부트로더, 최종 점검을 하는 메뉴입니다. 딱히 설정할 것이 없으므로 넘어갑니다. '설치'를 누르세요.
그럼 이렇게 설치 화면이 지나갑니다. 끝나면 재부팅을 해주세요.
그럼 이렇게 종료가 됩니다.
아직 CD를 마운트 한 상태이기 때문에 다시 이 메뉴를 보실겁니다. 맨 마지막 메뉴를 선택하세요.
그럼 이렇게 초기 화면이 나옵니다. 아까 입력한 정보대로 입력 하시면 됩니다.
저는 induky라는 이름을 사용 했으므로 이렇게 입력 했습니다.
암호도 설정 한대로..
그럼 우분투의 메인 화면이 나옵니다.
우분투의 설치는 여기까지입니다. 실제로 해보시면 정말 간단할겁니다.
자, 다음은 번외편인 컴피즈를 설정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왕 쓰는김에 3D 데스크탑도 쓰면 좋잖아요 ㅎㅎ
이렇게 메인 OS로 복귀해서 메뉴의 '장치(D)'를 누른 후 게스트 확장 설치를 누릅니다.
이를 위해서는 껐다가 다시 켜야합니다. 오른쪽 위의 아이콘을 눌러서 셧다운을 누릅니다. 끄고 나서 다시 우분투를 실행 합니다.
그럼 바탕화면의 CD항목이 바뀌어있을겁니다.
그럼 이제 게스트 확장을 설치 합시다. 프로그램-> 보조 프로그램 -> 터미널에 들어갑니다.
정겨운 도스삘의 화면이 나왔습니다. 이제 CD가 있는 디렉터리로 찾아가야 합니다. 아래를 보시죠.
명령어는 도스와 똑같습니다. 다만, 디렉터리 문구가 \이 아닌 /라는게 차이점이지만 말이죠.
위와 같이 cd /media/cdrom 을 입력하는데, 굳이 일일히 입력 할 필요 없이 cd /me(탭키)/cd(탭키) 식으로 하면 자동으로 완성됩니다.
CD롬 디렉터리로 왔으면 파일 목록을 봐야겠죠. dir을 입력합니다. 그럼 파일 목록이 나옵니다. 우리가 설치 해야 할 것은 VBoxLinux~로 시작하는 파일입니다. amd64는 64bit, x86은 32bit용입니다. 아래를 봅시다.
이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관리자 모드가 필요합니다. sudo sh VB~~~.run을 입력합니다. (그냥 위에 적힌대로 하면 되요 ㅎ)
sudo는 관리자 권한 획득 명령어, sh는 run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참고로 sudo 없이 sh만 입력하면 권한 문제로 실행이 불가능합니다.
리눅스는 UAC가 기본이므로 이렇게 관리자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암호를 입력 해주어야 합니다.
이제 가상 PC를 끕니다. sudo reboot을 입력합니다. (재부팅 명령어입니다)
재부팅 후 이처럼 기본설정->모양새로 갑니다.
모양새의 초기 화면은 테마입니다만, 여기서 바로 화면 효과로 넘어갑시다. 그럼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위에서 '보통'은 가벼운 효과이지만 사양이 어느정도 된다면 '많이'를 선택 해도 무방합니다. 저는 '많이'를 선택했습니다.
그럼 이렇게 드라이버를 검색하고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팝업이 나옵니다.
계속 사용하기를 누르면 끝납니다. 이제는 컴피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in Dirt 2 영상 (0) | 2009.06.22 |
---|---|
비스타 서비스팩2 MSDN버전 (0) | 2009.06.21 |
VirtualBox 2.22 (0) | 2009.05.13 |
Windows 7 64bit RC 한글화버전 (0) | 2009.05.12 |
Portable Ubuntu (0) | 2009.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