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에서는 기존에는 서버 제품군에만 쓰였던 Hyper-V에서의 RemoteFX를 지원합니다.
물론 클라이언트가 윈도우10이어야만 가능합니다.
저는 윈도우10 Pro버전의 Hyper-V에서 RemoteFX를 지원하여 구성을 해보았습니다.
구성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시는 분은 넘어가고, 혹시 모르시는 분은 아래의 폴딩을 열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위와 같이 시작버튼을 우클릭 하신 다음 프로그램 및 기능을 선택 합니다.
그리고 좌측의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선택 합니다.
그러면 Windows기능이 나오는데 Hyper-V항목은 기본적으로 꺼져 있습니다. 아래의 항목까지 다 체크를 해줍니다.
재부팅 후 시작버튼을 누른 후 Windows 관리 도구를 누르면 Hyper-V 관리자가 나옵니다.
그러면 Hyper-V관리자가 실행 되는데, 저같은 경우는 이미 가상머신을 구성 해놓은 터라 추가 하는 것은 따로 언급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오른쪽의 Hyper-V설정을 누릅니다.
※윈도우10에서는 가상머신이 1세대, 2세대에 관계없이 모두 RemoteFX구성이 가능합니다.
기존 윈도우 서버 2012R2만 해도 2세대에서는 RemoteFX를 지원하지 않았습니다. 1, 2세대는 실제 PC로 따지면 Legacy, UEFI로 구분 하시면 쉬울 듯 합니다.
그러면 실제GPU 항목에서 GPU를 고를 수 있습니다.
이게 두장을 다 쓸 수 있는지 확인 해보고자 했으나 메인컴에서 Crossfire가 풀리지 않아서 다음 기회로 미루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가상머신을 구성 하셨다면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기본적으로는 RemoteFX어댑터가 추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하드웨어 추가에서 RemoteFX 어댑터를 추가합니다.
그러면 RemoteFX어댑터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1대는 4K까지 구성이 가능하지만 2대 이상은 1920x1200까지만 구성이 가능합니다.
그러면 가상머신 안에서는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 어댑터가 Hyper-V 비디오 어댑터가 아닌 RemoteFX 그래픽 장치로 바뀝니다.
그러면 원격 데스크탑으로도 게임이 가능합니다.
이러면 클라이언트에서 원격데스크탑을 통해 위와 같이 게임이 가능합니다. 물론 꼭 게임이 아니라도 동영상 플레이도 잘 됩니다.
네트워크 자원이 넉넉하다면 1080P동영상도 제법 부드럽게 돌아갑니다.
위의 네트워크 자원 소모량을 보시면 게임을 구동하는데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자원을 그렇게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기존 원격데스크탑은 네트워크 자원을 많이 사용 하면서도 클라이언트 PC의 자원을 사용 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만, RemoteFX는 서버 호스트에서 그래픽카드를 통해 영상 압축을 하여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을 적게 소모하는 것입니다.
VDI구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처리를 호스트에서 하게 되면 클라이언트는 단순히 화면만 받아서 뿌려주는 역할 밖에 안하기 때문에 팬리스 씬클라이언트로도 충분히 원활한 컴퓨팅이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 동안의 서버에서의 사용 자원은 이렇습니다.
이때의 서버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Intel Core i7 5820K(4.3GHz) - 4코어 할당
48GB(16GB 할당)
AMD R9 Fury X
이게 호스트가 고사양이라 그렇지 저사양 서버를 구상 하시는 분이라면 성능이 많이 떨어질 것이라는 것은 감수 하셔야 할 듯 합니다.
이와 같이 호스트의 사양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프레임도 많이 저하됩니다.
참고로 위는 AMD FX8300(4코어 할당), 16GB(8GB할당) 지포스 GTX660인 호스트에서 만든 가상머신에서 플레이 한 것입니다.
반면, VNC를 이용해 게임을 플레이 할 경우의 네트워크 자원 소모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VNC에서의 플레이는 호스트에서 직접 플레이 한 것임을 감안 해주시길 바랍니다.
기본 옵션일때는 보통 이정도의 자원을 사용 합니다.
반면, 화질을 올려버리면 기가비트 이더넷이 아니면 제성능이 안나올 정도로 자원을 많이 소모합니다. 대신 화면도 부드럽고 화질도 좋습니다.
RemoteFX는 위와 같은 부드러움을 유지하면서도 네트워크 자원 소모를 적게 하는 것이 장점이기 때문에 쓸모가 있습니다.
참고로 VMware ESXi로도 이와 같은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ESXi가 효율성에서는 더 좋을겁니다.
윈도우도 서버 Hyper-V에디션을 사용하면 Xen이나 ESXi또는 리눅스 기반의 kvm같이 효율성이 올라가긴 합니다. OS에서 자원소모를 거의 안하니 말이죠. 다만 Core버전 기반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많이 알아둬야 한다는건 함정(...)
'소프트웨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키에이지의 CPU사용량 (0) | 2013.01.13 |
---|---|
윈도우 무비 메이커를 다시 바라보게 되다. (0) | 2011.03.21 |
한컴 오피스 2010 (0) | 2010.06.16 |
에이지 오브 코난 (0) | 2010.05.25 |
우분투 10.04 정식버전을 며칠 써보고 (0) | 2010.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