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웨어 이야기

쿨앤 콰이어트와 비스타

Induky 2009. 5. 7. 02:20

에에... 제가 제목은 거창하게 적었지만 내용은 사실 간단합니다.

킨텔이라면 EIST라는 절전기능이 있고, 암드는 C'n'Q라는 절전기능이 있습니다.
둘 다 클럭과 전압을 가져노는 기능을 가지고 있죠.

참고 : Phenom II X3 Heka 720BE의 쿨콰


더보기


참고로 전압도 조절됩니다. 전압은 설정된 Vcore에 따르며, VID를 조절 하였을 경우는 1,2,3단계는 기본 전압으로 들어가고, 4단계에서만 설정한 VID로 들어갑니다. 1단계 같은 경우는 1.025V로 들어가야 되는데, 2번이나 3번 코어가 3.4GHz여서 전압이 1.45V로 들어간듯 합니다.
클럭 같은 경우는 HTT오버를 하였을 경우는 배수는 그대로이고 HTT만 달라지기 때문에 클럭이 위와 다릅니다.



참고2 : Phenom X4 9500의 쿨콰


더보기




페넘은 모든 코어가 독립적으로 클럭이 조절 됩니다만, 2단계가 한계고, 모든 코어가 절반으로 떨어져야 전압이 떨어집니다.
현재의 쿠마도 이 구조입니다.



이 그럴싸한 기능의 절전기능은 하드웨어 차원에서도 지원해야 하고, OS에서도 지원해야 합니다.
하드웨어적 차원이야 당연히 메인보드에서 해당 옵션만 켜주면 끗입니다.


이것처럼 말이죠.

하지만 OS레벨에서 지원하는 것은 XP와 비스타가 서로 다릅니다.
XP는 아시다시피 최소전원모드로 돌려야 작동을 합니다. 게다가 인텔 CPU는 상관 없지만 AMD는 K8이후의 CPU같은 경우 해당 CPU드라이버가 필요하고요(서비스팩이 올라가면서 드라이버 하나도 제대로 지원 안해주다니 -_-;; 역시 윈텔)

그러나 명색이 7년의 공백을 깨고 나온 비스탈은 간지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인텔, AMD를 막론하고 드라이버를 따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 바이오스에서 켜기만 하면 바로 쓸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 원리(?)를 깨우쳐봅시다(......)



먼저 제어판->전원 옵션에 들어가면 이 창이 나옵니다.
보통은 이와 같이 3가지 옵션이 나옵니다. 노트북 같은 경우는 제조사 권장 설정이 있습니다만.
현재 저는 균형 모드로 설정 했습니다.

저기서 전원관리 옵션 설정 변경에 들어가면 추가 옵션이 나올겁니다.
(저는 현재 AMD 헤카 720BE를 쓰고 있으므로 페넘2를 기준으로 설명 합니다)



자, 여기에서 고급 전원 관리 옵션 변경을 누르시면 위의 스샷과 같이 새로운 창이 뜹니다.
현재는 절전모드에 대한 설정 창이 나오는군요. 자, 저기에서 프로세서 전원 관리를 봅시다. 최소와 최대가 있습니다.
기본 값은 최소 5%, 최대 50%입니다. 이게 무엇을 뜻하느냐...
페넘2같은 경우는 클럭이 4단계로 분류가 됩니다. 거기서 위의 스샷과 같이 최고 2단계 클럭까지 밖에 안올라갑니다. 클럭이 2단계까지 밖에 올라가지 않으니 그만큼 전압도 2단계에 맞춰지므로 전압까지 낮춰지는 것이죠.


제가 설정 해놓은 균형모드 옵션입니다.
최 소 5%에서 최대 100%까지 활성화 됩니다. 당연히 최저 클럭에서 최고 클럭까지 유동적으로 조절 됩니다. 사실 이렇게 놔두고 게임 해도 그렇게 큰 무리는 없습니다. 다만, 헤카는 간혹가다 게임 프레임이 끊기는 경우가 생기긴 합니다.


고성능 모드입니다. 이건 사실 쿨콰를 끈 것과 다를거 없습니다.

자, 이제 CPU클럭 관리를 조절 해봅시다.



뭐.. 사실 굳이 설명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싶은데... 위와 같이 옵션을 변경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



다음은 점유율을 냅다 조절합니다. 최대야 100%로 해놓는게 좋겠죠;;
다만, 최소는 일단 30%으로 줘봅시다. 그럼 위와 같이 최소 클럭은 1600MHz, 즉 2단계 클럭으로 맞춰집니다. 암만 안써도 최소 2단계 이상은 쓴다는 이야기겠죠.


50%로 맞추면 3단계로 맞춰집니다.


75%부터는 끈것과 사실 다를게 없습니다 ㅡ,.ㅡa

이렇게 조절을 해서 자신만의 옵션을 새로 만들어도 됩니다.
HDD끄기 옵션을 없애버린다던가, 절전, 인덱싱 모드라던가... 그렇게 자신만의 전원 옵션을 만들어도 좋겠죠. 게임용, 인터넷용 옵션도 좋고..

어떻스빈까? 너무 쉬워서 하품이 나올 정도졍??

'하드웨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deon HD4890 사용기  (0) 2009.05.15
지름은 빠르고 신속하게.  (0) 2009.05.12
라데온 HD4770 사용기  (0) 2009.05.05
4870과 4770을 같이 꽂아보았다.  (0) 2009.05.03
4770을 질러 봤습니다.  (0) 2009.04.29